

선교형교회를 꿈꾸는 교회 목회자들이 사회적기업 전문가와 학자, 현장 목회자의 경험과 조언을 들을 수 있는 콘퍼런스가 마련되어 눈길을 모았다. 이 자리에서 강사들은 먼저 지역사회의 필요를 관찰하고, 사회적기업·협동조합 설립을 적극적으로 고려하며, 관계기관 및 타 교회와 단체들과의 네트워크를 이뤄야 교회를 넘어 사회에 영향력을 미칠 수 있다고 조언했다. 
총회 국내선교부(부장:황순환)가 주최하고 도시공동체연구소(소장:성석환)가 주관한 '선교형교회 콘퍼런스'가 22일 한국교회100주년 기념관 소망실에서 열려 선교적 목회를 지향하는 목회자들에게 다양한 정보를 소개하며, 한국교회가 나아가야 할 방향을 모색했다.
'공공영역으로의 확장'을 주제로 열린 이날 콘퍼런스에서 '선교형 교회와 사회적 경제'를 주제로 강의한 송남철 본부장(한국사회적기업진흥원)은 "선교형교회들은 다문화, 소그룹, 카페, 구제 및 개발, 전문인, 봉사 및 선교, 구제, 기독대안학교 등 다양한 영역에서 사역하지만 교회 간 상호 네트워크가 잘 연결되어 있지 않고, 사회와도 분절적인 모습을 보이고 있다"고 분석하고, "지역사회의 다양한 활동과 변화에 참여하고, 교회가 이웃이 되는 사역을 개발 실행하며, 네트워크를 강화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조언했다.
송 본부장은 "사회적 기업이나 협동조합은 선교형교회가 사업을 할 때 가장 잘 맞는 의복인만큼 법인의 형태를 지향하는 것을 권한다"며 "교회 우선적 사업 보다는 만인에게 기회가 공정한 사업을 지향해야 성공 가능성이 높다"고 말했다. 
'지역을 섬기는 선교형교회의 공공영역'을 주제로 강의한 이성곤 교수(장신대)는 영국교회의 사례를 중심으로 한국교회가 적용할 수 있는 지역사회 섬김 사례를 소개하고, 한국교회로의 적용점 등을 제시했다.
이 교수는 '경청은 성령의 인도하심을 이웃의 목소리를 통해 듣는 실천이며 신학적 원리'라고 말한 영국교회 사제의 발언을 소개하며 "교회가 지역 주민들과의 관계 속에서 함께 필요를 발견하고 해결책을 모색하는 과정을 중시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그는 영국 선교형교회들의 특징으로 △다양한 파트너와의 협력 △지역사회의 자산과 강점을 인식하고 강화하는데 중점 △예배와 공공행동을 분리하지 않는 통합적 접근 △다양한 배경의 사람들을 포용하고 환대하는 공간 창출 등을 꼽으며 "한국교회는 내적 지속가능성을 위해 신학적 성찰과 영성적 자원을 풍부하게 하고, 외적으로는 지역사회 내 다양한 주체들과의 협력적 네트워크 구축을 통해 자원을 효율적으로 활용해야 한다"고 조언했다.
'작은 도서관을 통한 공공선교 사례'를 주제로 강의한 이영우 목사(하늘샘교회)는 교회 공간을 작은도서관으로 만들어 주중 지역사회에 개방해 책 읽는 공간으로 제공하고, 보드게임 특강, 어르신 대상 스마트폰 기초교육 등으로 설립 3년만에 우수도서관으로 선정된 사례를 소개했다. 또한, 사회적협동조합 법인을 설립해 교회와는 독립적인 방과 후 돌봄교실을 통해 한부모 가정 및 다문화 가정 자녀들을 돌보고 있는 사역 등을 공유했다.
|